건축구조방식의 분류 및 특성
건축구조는 그 재료에 따라, 구성양식에 따라, 그리고 시공과정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눌 수가 있습니다.
한번 출발해보도록 할까요?
ㅎvㅎ
< 간단 해설 >
가구식 구조 : 뼈대를 짜맞춘 구조 부재와 부재를 접합
조적식 구조 : 벽돌. 등의 블록을 쌓아 올린 것
=> 모르타르(몰탈) = 시멘트+물+모래(접착재료) / 횡력에 약함
습식구조 : 물사용o
건식구조 : 물사용x
1.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SRC구조)
[ 장점 ]
철근콘크리트구조에 비하여 강성, 내력이 크고 인성도 좋음
[ 단점 ]
공사비가 더 듬
2. 조립식 구조의 특징
(1) 정의
①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 설치
② 현장가공x 특정 공장에서 제작된 재료를 현장에서 짜 맞추는 형식의 구조
③ Pre-fabrication 공법으로 공장에서 이미 제작된 모듈, 유닛을 각 현장에서 조립하는 건축공법
(프리패브 = PC = 프리캐스트)
④ 모듈러 공법 : 프리패브 공법의 한 종류, 공장에서 생산된 모듈을 현장에서 조립
(2) 장점
① 공기(공사기간) 단축
② 품질 향상과 감독, 관리가 용이
③ 공사비 절감 및 가설공사의 최소화
(3) 단점
① 설계상의 제약 : 모듈화 되어있기 때문
② 접합부 문제 : 공장에서 생산 -> 현장에서 연결 -> 접합부 설계잘못시 구조물의 연속적인 붕괴 초래
③ 운송과 적재 문제 : 원자재 공장운송 + 공장부재 현장운송
④ 양중문제 : 조립을 위해 들어올리는 장비 필요
⑤ 초기투자비 및 시공기술의 문제 : 공장건설비용 / 정교한 현장시공기술 요구
3. 조립식 구조의 개발 방식
(1) Open System
건물을 구성하는 부재, 부품들이 여러 형태의 건물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개발, 생산하는 방식
(2) Closed System
완성된 건물의 형태가 사전에 계획되고 이를 구성하는 부재, 부품들이 특정한 타입의 건물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생산하는 방식
4. 조립식 구조의 시공상 공법
(1) 리프트 슬래브 공법 : 바닥을 들어올림
① 기둥과 바닥판으로 구성되는 다층건물의 시공법
② 철골기둥을 세우고 지상에서 각층의 바닥판을 겹쳐 제작한 후 이를 잭을 이용해 순차적으로 들어 올려 소정의 위치 기둥에 고정시키는 공법
(2) 틸트 업(Tilt Up) 공법
① 철근 콘크리트구조의 벽판을 현장 지상 평면에서 제작하여 굳은 다음 제자리에 옮겨 놓고 일으켜 세우면서 조립하는 공법
② 콘크리트 패널은 튼튼한 내력벽을 구성하고, 더욱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공법
(3) 리프트 업 공법 : 건물을 만들어서 들어올림
- 건물을 미리 만들어서 들어올리는 공법
( 위 붉은색표시가 들어올려 설치한 건물 )
ex) 쌍둥이빌딩
내용 정리
건축구조양식을 각각 재료, 구성약식, 시공과정에 따라서 분류하고 개중에서도 조립식구조에 대해
깊이 파헤쳐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조립식구조는 다른 구조와 다른점이 있다면 공장생산 현장조립을 하고 때문에 공사기간이 짧은 장점이 있지만
공사비용이 더 듭니다.
제조방법에는 Open방식과 Close방식이 있었고
조립식 공법에는 건물뼈대에 바닥을 여렇게 쌓고 들어올리는 공법인 리프트 슬래브 공법
벽판을 모아두고 접합하여 조립하는 틸트업방식
그리고
건물을 미리 조립하여 통째로 들어올려 설치하는 리프트 업 공법 등이 있었습니다.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부재 용어 정리 / 구조재료의 검사 (0) | 2019.06.29 |
---|---|
건축구조설계기준과 구조안전확인 / 건축용어정리 (0) | 2019.06.28 |
[Steam생존/건축게임] 래프트(RAFT)로 해적선을 만들어보았습니다 (1) | 2019.06.27 |
하중과 응력(내력)의 개념 +강도-강성/탄성-소성/연성-취성 (2) | 2019.06.25 |
건축구조학 기초 용어정리 (1) | 2019.06.24 |